50 |
[관절 수술 후 관련된 질문] 인공관절 수술 후에 “뚝”소리가 나는데 괜찮은 건가요? |
|
|
답변 |
소리가 나는 것은 괜찮습니다. 하지만 소리와 심한 통증이 같이 동반이 된다면 병원을 내원하여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
49 |
체외 충격파 치료는 석회를 제거하는 건가요? 작아지게 하는 건가요? |
|
|
답변 |
둘 다 맞는 얘기입니다. 작아지게도 하고 없어지게도 합니다.
|
|
48 |
[관절 수술 후 관련된 질문] 석회는 수술 없이도 완전히 사라지기도 하나요? |
|
|
답변 |
석회는 주로 어깨 힘줄에 많이 생기는데 이는 형성기, 휴지기, 흡수기를 거쳐 없어지게 됩니다. 극심한 어깨 통증은 주로 흡수기에 나타나게 됩니다. 이 통증이 있는 시기를 약물 치료나 주사 치료, 물리 치료 등으로 잘 넘기면 수술 없이도 치료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극심한 통증이 지속되거나 시간이 지나도 호전이 없을 때에는 관절경적 내시경으로 제거를 하게 됩니다.
|
|
47 |
[연골주사치료] 연골주사와 뼈주사는 어떻게 다른가요? |
|
|
답변 |
연골 주사는 연골을 구성하고 있는 Hyaluronate라는 성분을 가지고 있는 주사이고 뼈주사는 강한 염증 억제 작용을 하는 스테로이드 성분을 가지고 있는 주사입니다. 연골 주사는 쉽게 말하면 연골 영양제로서 관절을 부드럽게 해주는 주사이고 뼈주사는 염증을 억제해 주는 주사입니다. 뼈 주사는 스테로이드 성분이라 자주 맞으면 오히려 연골이 약해지거나 힘줄이 약해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최소 6개월 간격을 두고 맞는 것이 좋습니다.
|
|
46 |
[관절 수술 후 관련된 질문] 무릎이나 어깨 관절경 수술 후 통증은 완전히 제거되나요? |
|
|
답변 |
완전히 제거가 됩니다. 하지만 무릎이나 어깨에 원래부터 가지고 있던 관절염과 같이 수술을 한 병변 이외에 다른 병변이 있다면 관절염에 의한 통증은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수술 후 연골주사 및 약 복용으로 조절하게 됩니다.
|
|
45 |
[관절 수술 후 관련된 질문] 무릎 수술 후 쪼그려 앉기나 무릎 꿇기, 양반다리를 해도 되나요? |
|
|
답변 |
해도 상관은 없으나 쪼그려 앉기, 무릎 꿇기, 양반 다리는 무릎을 과도하게 구부리는 자세이기 때문에 무릎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수술을 받지 않으신 분도 위와 같은 자세를 오랫동안 반복적으로 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
|
44 |
[관절 수술 후 관련된 질문] 어깨나 무릎 수술 이후 헬스나, 과격한 운동은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수술 전과 똑같이 운동을 해도 되나요? |
|
|
답변 |
수술의 종류에 따라 수술 전 손상의 정도에 따라 다르나 과격한 운동은 보통 6개월이 지난 뒤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어깨나 무릎에 봉합술을 한 경우나 인공관절을 한 경우는 더욱 조심하셔야 됩니다. 완전히 회복이 된 이후에는 수술 전과 똑같이 운동을 해도 좋습니다. 하지만 무리한 운동 보다는 본인의 몸에 맞고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적절한 운동을 할 것을 추천 드립니다.
|
|
43 |
[어깨] 어깨 뼈가 자라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꼭 수술을 해야 하나요? |
|
|
답변 |
어깨에 뼈가 자란다는 것은 보통 견봉(어꺠의 회전근개 위를 덮고 있는 뼈)이라는 뼈에 골극(Osteophyte)이 자라나는 것을 말합니다. 골극은 기계적 스트레스나 염증성 자극 등에 골 변연부에 생기는 골성 융기를 말하는 것으로 견봉의 골극은 어깨의 충돌 증후군, 회전근개 파열의 병태 생리에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즉, 견봉의 골극에 의해 충돌 증후군과 회전근개 파열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수술은 골극이 자라고 있고, 그에 따른 증상이 있을 때 수술을 하게 됩니다.
|
|
42 |
[어깨] 회전근개 파열 수술 후에 재파열이 될 수도 있나요? 재파열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
|
|
답변 |
회전 근개 파열은 수술 후 재파열이 될 수도 있습니다. 최소 3개월간은 경과를 봐야 되며, 3개월이 지난 뒤에도 통증이 심하거나 팔이 올라가지 않는다면 MRI검사를 하여 재파열 여부를 검사할 수 있습니다.
|
|
41 |
[어깨] 어깨 수술 후 운전이나 운동, 일상생활은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
|
|
답변 |
회전 근개 파열은 파열의 크기와 심한 정도에 따라 또는 개인의 운동 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만 보통은 6주에 보조기를 제거를 하고 도수 치료를 병행하면서 일상 생활을 시작합니다. 운동은 어떤 운동이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3-6개월 뒤부터 가벼운 운동은 가능하고, 어깨를 많이 쓰는 운동이나 과격한 운동은 6개월이 지난 뒤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
|
40 |
[어깨] 회전 근개 파열 수술 시 보조기를 얼마나 착용하나요? |
|
|
답변 |
회전 근개 파열 후 보조기는 6주간 착용하게 됩니다.
|
|
39 |
[무릎] 무릎 인공관절 수술 후 샤워 혹은 통목욕은 언제부터 할 수 있나요? |
|
|
답변 |
무릎 인공관절 수술 후 2주째에 수술 부위의 봉합 실을 제거를 하게 됩니다. 봉합 실을 제거하고 2일 정도 뒤에 간단한 샤워 정도는 가능하나 통목욕은 봉합 실 제거하고 2주 뒤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
|
38 |
[무릎] 무릎 인공관절 수술 후 재활치료가 꼭 필요한가요? 필요하다면 얼마동안 받아야 하나요? |
|
|
답변 |
수술 후 재활치료는 꼭 필요합니다. 무릎 관절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점차적으로 운동 범위를 늘려 가는데 수술 후 2주 정도에 140도 까지 굽힐 수 있도록 합니다. 하지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시간이 더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
37 |
[무릎] 인공관절 수술 후 얼마 만에 거동이 가능한가요? 수술 후의 관리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
|
|
답변 |
원칙적으로 인공 관절 수술은 수술 후 바로 거동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수술 후 통증과 피주머니(무릎에 피가 고이지 않게 해주는 것으로 수술방에서 달고 나옵니다.) 때문에 보통은 수술 후 2일 뒤부터 피주머니를 제거하고 거동을 시작하고 무릎 관절 운동을 시작합니다. 무릎 관절 운동은 물리 치료실에서 CPM(무릎 관절 운동기구)이라는 기계를 이용하여 점차적으로 운동 범위를 늘려 갑니다.
|
|
36 |
[무릎] 인공관절 수술 소요시간은 어떻게 되나요? 입원 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
|
|
답변 |
순수한 수술 소요 시간은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수술 전 마취, 수술 후 회복실에서 관리까지 생각하면 병실로 돌아오는 시간은 더 길어집니다.
|
|